5인제 시각장애인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인제 시각장애인 축구는 시각 장애가 있는 선수들이 참여하는 축구의 한 종류로, 골키퍼를 포함하여 5명의 선수로 구성된다. 경기는 풋살과 유사하게 진행되지만, 선수들은 눈가리개를 착용하고 공은 소리가 나도록 개조되며, 선수들은 '보이'와 같은 구호를 외쳐야 하는 등의 차이점이 있다. 선수들은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B1, B2, B3 등급으로 분류되며, B1 등급은 전맹, B2/B3 등급은 약시 선수들이 참가한다. 주요 국제 대회로는 세계 선수권 대회, 패럴림픽 등이 있으며, 관중들은 경기 중 소리를 내는 것이 금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장애인 스포츠 - 골볼
골볼은 제2차 세계대전 시각 장애 참전 용사 재활을 위해 개발된 시각 장애인 스포츠로, 방울이 든 공을 이용해 상대 골대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 주관 하에 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시각장애인 스포츠 - 쇼다운 (스포츠)
쇼다운은 시각 장애인을 위해 고안되어 특수 제작된 테이블, 배트, 소리가 나는 공, 고글 등을 사용하여 공을 쳐서 상대방 골 포켓에 넣는 스포츠로, 1977년 캐나다에서 고안되어 장애인 올림픽에서 소개된 후 국제적으로 보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널리 보급되었다. - 축구 종류 - 족구
족구는 배구와 축구를 융합한 대한민국의 스포츠로, 발, 정강이, 머리만을 사용하여 공을 다루며, 4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네트를 사이에 두고 경기를 펼치는 구기 종목이다. - 축구 종류 - 프리스타일 축구
프리스타일 축구는 축구공을 가지고 다양한 기술과 묘기를 선보이는 스포츠이며, 동남아시아 전통 경기에서 기원하여 선수들의 기여로 대중화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기술과 스타일을 바탕으로 국제 대회가 열린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장애인 스포츠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상이군인들에 의해 시작되어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의 관리하에 일반 농구와 유사하지만 휠체어 사용에 맞춘 규칙과 클래스 분류를 적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골볼
골볼은 제2차 세계대전 시각 장애 참전 용사 재활을 위해 개발된 시각 장애인 스포츠로, 방울이 든 공을 이용해 상대 골대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 주관 하에 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5인제 시각장애인 축구 | |
---|---|
기본 정보 | |
![]() | |
스포츠 | 축구 |
다른 이름 | 블라인드 풋볼 풋살 B1 |
종목 분류 | 장애인 스포츠 |
장애 유형 | 시각 장애 |
성별 구분 | 남자 |
규칙 | |
팀 구성 | 5명 (골키퍼 1명 포함) |
선수 조건 | 시각 장애 (B1 등급) |
경기장 크기 | 40m x 20m (풋살 경기장과 유사) |
공 | 소리가 나는 특수 제작 공 사용 |
경기 시간 | 전후반 각 25분 (휴식 시간 10분) |
골키퍼 | 비장애인 또는 시각 장애가 약한 선수 (B2/B3 등급) |
규칙 세부 사항 | |
아웃 (Out) | 아웃은 일반적인 축구 규칙과 동일함 |
페널티 | 파울은 누적되며, 5개 누적 시 페널티 킥이 주어짐 |
오프사이드 (Offside) | 오프사이드는 적용되지 않음 |
태클 (Tackle) | 슬라이딩 태클은 금지됨 |
지시 (Guide) | "보이 (Voy)" 또는 "보이도 (Voydo)"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선수에게 공의 위치를 알림 |
국제 대회 | |
주관 단체 | 국제 시각 장애인 스포츠 연맹 (IBSA) |
주요 대회 | 패럴림픽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세계 선수권 대회 지역 선수권 대회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등) |
기타 정보 | |
특징 | 선수들은 눈가리개를 착용하여 공정성을 유지 골 뒤편에는 '콜러 (Caller)'가 위치하여 선수들에게 방향과 위치 정보를 제공 |
2. 규칙
하나의 팀은 골키퍼를 포함하여 5명의 선수로 구성된다. 시합 시간은 전후반 각 20분으로 총 40분 동안 행해지며 그 사이에 10분 간의 하프 타임이 있다. 골키퍼는 시력적인 제한이 없기 때문에 시각장애가 없는 비장애 선수가 맡는 일이 많다. 골키퍼 이외의 4명의 필드 선수는 시각장애의 정도에 따라서 다음의 세 등급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 축구 규칙은 풋살 규칙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몇 가지 중요한 예외 사항이 있다.
- 골키퍼를 제외한 모든 선수는 눈가리개를 착용한다.
- 공은 딸랑거리는 소리를 내도록 개조되었다.
- 선수들은 공을 향해 갈 때 "보이", "가" 또는 이와 유사한 말을 해야 한다. 이는 다른 선수들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 경기장 밖에 위치한 가이드가 선수들에게 지시를 제공한다.
=== 선수 등급 ===
5인제 시각장애인 축구 선수 등급은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B1, B2, B3 세 가지로 나뉜다.
- '''B1''': 전맹 또는 거의 전맹으로, 빛을 전혀 느끼지 못하거나 빛을 느껴도 손의 그림자를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이다.
- '''B2''': 약시로, 손의 그림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교정 후 시력이 0.03 미만, 또는 시야가 5도 미만인 경우이다.
- '''B3''': 약시로, 교정 후 시력이 0.03 ~ 0.1, 또는 시야가 5도 ~ 20도 정도이다.
대회는 B1 등급 선수들이 참가하는 '전맹부'와 B2/B3 등급 선수들이 참가하는 '약시부' 두 종류로 나뉘어 진행된다.
=== 경기 규칙 (B1 등급) ===
B1 등급에서는 선수의 조건을 같게 하기 위해서 골키퍼 이외의 필드 선수는 안대를 착용하고 플레이한다. 골키퍼는 골대 앞의 장방형 구역 내(가로 5.82m×세로 2m)의 공만 건드릴 수 있다. 또, 상대방의 공격 상황을 수비수에게 전하는 역할도 맡는다. 팀에서는 선수 외에 적진 골대 뒤에 가이드를 두며 선수에게 방향이나 거리 등을 전하거나 슛 타이밍 등을 지시한다. 사이드라인에는 펜스가 있어서 공이 터치를 벗어날 일은 거의 없다. 또 공은 선수에게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소리가 나게 방울을 넣어서 만든다.
수비 시에 공을 가지러 갈 때 ‘내가 간다’라는 뜻의 스페인어 ‘보이/voyes’라고 외친다. 이는 불필요한 접촉 플레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 경기 규칙 (B2/B3 등급) ===
5인제 시각장애인 축구의 B2/B3 등급 경기는 안대를 착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공을 사용하며, 풋살과 유사한 규칙으로 진행된다. 팀은 B2 및 B3 등급의 선수로 구성되며, 항상 2명 이상의 B2 등급 필드 선수가 있어야 한다.
수비 시 공을 가지러 갈 때는 불필요한 접촉 플레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페인어로 '내가 간다'는 뜻의 '보이!'(voyes)라고 외쳐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 축구 규칙은 풋살 규칙과 매우 유사하지만, B1등급 경기와 비교했을때 몇 가지 중요한 예외 사항이 있다.
=== 관중 매너 ===
시각장애인 축구는 공의 소리나 선수와의 교섭 등, 청각에 의지하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진행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경기 중에 관객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일절 금지되며 매너 위반이 된다. 단, 팀이 골을 넣은 직후 등 경기 시간 이외라면 그 제한은 없다.
2. 1. 선수 등급
5인제 시각장애인 축구 선수 등급은 시각 장애 정도에 따라 B1, B2, B3 세 가지로 나뉜다.- '''B1''': 전맹 또는 거의 전맹으로, 빛을 전혀 느끼지 못하거나 빛을 느껴도 손의 그림자를 인식할 수 없는 정도이다.
- '''B2''': 약시로, 손의 그림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교정 후 시력이 0.03 미만, 또는 시야가 5도 미만인 경우이다.
- '''B3''': 약시로, 교정 후 시력이 0.03 ~ 0.1, 또는 시야가 5도 ~ 20도 정도이다.
대회는 B1 등급 선수들이 참가하는 '전맹부'와 B2/B3 등급 선수들이 참가하는 '약시부' 두 종류로 나뉘어 진행된다.
2. 2. 경기 규칙 (B1 등급)
B1 등급에서는 선수의 조건을 같게 하기 위해서 골키퍼 이외의 필드 선수는 안대를 착용하고 플레이한다. 골키퍼는 골대 앞의 장방형 구역 내(가로 5.82m×세로 2m)의 공만 건드릴 수 있다. 또, 상대방의 공격 상황을 수비수에게 전하는 역할도 맡는다. 팀에서는 선수 외에 적진 골대 뒤에 가이드를 두며 선수에게 방향이나 거리 등을 전하거나 슛 타이밍 등을 지시한다. 사이드라인에는 펜스가 있어서 공이 터치를 벗어날 일은 거의 없다. 또 공은 선수에게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소리가 나게 방울을 넣어서 만든다.수비 시에 공을 가지러 갈 때 ‘내가 간다’라는 뜻의 스페인어 ‘보이/voyes’라고 외친다. 이는 불필요한 접촉 플레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 축구 규칙은 풋살 규칙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몇 가지 중요한 예외 사항이 있다.
- 골키퍼를 제외한 모든 선수는 눈가리개를 착용한다.
- 공은 딸랑거리는 소리를 내도록 개조되었다.
- 선수들은 공을 향해 갈 때 "보이", "가" 또는 이와 유사한 말을 해야 한다. 이는 다른 선수들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 경기장 밖에 위치한 가이드가 선수들에게 지시를 제공한다.
2. 3. 경기 규칙 (B2/B3 등급)
5인제 시각장애인 축구의 B2/B3 등급 경기는 안대를 착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공을 사용하며, 풋살과 유사한 규칙으로 진행된다. 팀은 B2 및 B3 등급의 선수로 구성되며, 항상 2명 이상의 B2 등급 필드 선수가 있어야 한다.수비 시 공을 가지러 갈 때는 불필요한 접촉 플레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페인어로 '내가 간다'는 뜻의 '보이!'(voyes)라고 외쳐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인 축구 규칙은 풋살 규칙과 매우 유사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예외 사항이 있다. 예를 들어, 골키퍼를 제외한 모든 선수는 눈가리개를 착용해야 하며, 공은 딸랑거리는 소리가 나도록 개조된다. 또한 선수들은 공을 향해 갈 때 "보이", "가" 등과 같은 말을 하여 다른 선수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야 한다. 경기장 밖에 위치한 가이드는 선수들에게 지시를 제공한다.
2. 4. 관중 매너
시각장애인 축구는 공의 소리나 선수와의 교섭 등, 청각에 의지하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진행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경기 중에 관객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 일절 금지되며 매너 위반이 된다. 단, 팀이 골을 넣은 직후 등 경기 시간 이외라면 그 제한은 없다.3. 주요 국제 대회
- 시각 장애인 축구 세계 선수권 대회
- IBSA 세계 선수권 대회 시각 장애인 축구
-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유럽 선수권 대회
-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아시아 선수권 대회
-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
- 하계 패럴림픽 축구 5인제
- 아시아 장애인 게임 축구 5인제
- 아세안 장애인 게임 축구 5인제
- 파라팬 아메리카 게임 축구 5인제
4. 세계 선수권 대회 결과
5인제 시각장애인 축구의 세계 선수권 대회는 IBSA 세계 선수권 대회 시각 장애인 축구와 시각 장애인 축구 세계 선수권 대회가 있다. 또한, 대륙별 선수권 대회로는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유럽 선수권 대회,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아시아 선수권 대회,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아메리카 선수권 대회, IBSA 시각 장애인 축구 아프리카 선수권 대회가 있다.